한글이 지금과 달리 알파벳 모양으로 바뀔뻔한 사건
- 12-28
- 3,116 회
- 0 건
공병우 선생님께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window키 + H를 눌러 봅시다
푸는 방법은 윈도우 + .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을 한 데 모아서 하나의 글자로 되고 그렇게 모아서 만들어진 글자 하나가 하나의 음절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19세기 말 한글이 공용문자로 채택되면서부터 기존의 모아쓰기 방식에서 탈피해 한글의 각 자음, 모음을 풀어써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한글 철자법을 만든 주시경 선생이 풀어 쓰기를 처음 주장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풀어 쓰기를 강력하게 지지한 한글학자 중 한 명이 최현배 선생인데 1936년부터 이미 한글 풀어쓰기 임시안을 마련하고 국문학 잡지인 "한글" 에도 풀어쓰기로 글을 게재하였다. 최현배 선생은 한글 풀어쓰기를 넘어 한글을 보다 과학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며 풀어쓰기용 한글의 모양도 바꾸려 했다. 그 한글 가로글씨는 자형 기가 쓰려 수월한 걸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는데 마리 해 다리를 가로로 그린 것 같다고 비유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한글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것에는 찬성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영어와 혼합하는 것을 비판하는 의견도 있었다. 공병우는 이렇게 어마어마한 논쟁이 있었던 한글의 모양에 대해 "속담에 부뚜막 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