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에 의해 1순위로 멸망 중이라는 직업군

- 12:08
- 348 회
- 0 건
요즘 행사 현장을 가면, 사람 대신 AI가 통역을 맡는 광경이 흔해졌다. 실시간 통번역 서비스가 자리를 확실히 차지해, 무대 양쪽의 스크린에 한글 자막이 번쩍인다. 언어의 벽은 아직 남아 있지만, 그 벽을 허물려는 움직임은 멈추지 않는다. 이 흐름은 바로 AI 대체 통번역사 시대의 서막일지도 모른다.
배경으로 우리는 최근의 업계 이야기를 들여다본다. 한 연구에 따르면 40가지 직업 중 1위에 통번역가가 꼽히고, 이들 업무의 상당 부분이 AI와 겹친다는 평가가 있다. 현장에선 시연회나 박람회에서도 AI가 설명회 통역의 자리를 차지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일반화되면 번역가의 역할은 '깊이 파고드는 전문성' 쪽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커지고, 실시간 통번역 기술이 이 흐름을 더욱 가속한다.
현재의 상황을 두고 여러 해석이 난다. 어떤 사람은 'AI는 빠르고 정확하지만, 맥락의 미세한 뉘앙스는 여전히 사람의 손길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 다른 시각은 '협업 도구로서의 AI가 표준이 되면, 번역가의 업무는 더 좁고 깊게 파고드는 방향으로 진화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역의 신뢰성과 현장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건 결국 인간의 판단력 아닐까? 독자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다.
언어가 단순한 문자 교환이 아니라 문화의 다리라는 걸 잊지 않는다면, 이 변화는 피할 수 없는 물결이 된다. 교육과 재교육, 가격 체계의 재편이 함께 따라와야 하지만, 아직은 방향이 확정되지 않았다. 결국 이 모든 흐름은 우리에게 '무엇을 지키고 무엇을 바꿀까'를 묻는다. 여러분은 이 AI 시대의 통번역이 어떤 모습으로 다가오길 기대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