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돈 더뜯어먹으려고 서울쓰레기 안받는거다"
- 18:13
- 281 회
- 0 건



숫가루 공포가 마을회관으로 흘러들어온 지도 벌써 몇 달째다. 인천의 한 작은 마을은 도심의 쓰레기 이야기와 달리, 숫자와 소문이 매일 바뀌는 무대가 되고 있다. 바람이 불 때마다 건물 틈새로 흩날리는 미세먼지처럼 들려오는 건, ‘이게 우리 가족의 건강일 수 있다’는 걱정뿐이다. 이 이야기의 중심엔 다름아닌 사월마을과 수도권 매립지, 그리고 누가 이 고정관념의 시계태엽을 멈추게 할까라는 의문이 있다.
그 배경은 생각보다 복잡하다. 이 마을은 예전엔 맑은 공기로 유명했지만, 지금은 쇳가루와 건축폐기물이 근처에서 흩날린다. 주민들은 암으로 사망한 이들을 떠올리며, 환경 문제가 지역의 삶과 경제의 저울에 걸렸다고 말한다. 수치가 부적합을 가리키는 한편 암 발생률은 타 지역보다 높다고 보긴 어렵다는 해석도 있다. 이 간극이 왜 생겼는지, 우리 사이의 신뢰는 어디로 가고 있는지 궁금하다.
현재 상황은 더 복잡하다. 하루에 수만 대의 쓰레기차가 인접한 길을 지나가고, 대형 공장들도 여전히 가동 중이다. 주민들은 공장과 지자체 간의 대화가 실종된 듯 느끼고, 현장 취재와의 마찰도 잦다. '우리 아이의 숨 쉬는 공기가 이래도 괜찮은가?' 같은 물음이 반복되며, 독자들에게도 자신의 동네를 다시 생각해 보게 만든다.
다양한 해석이 있다. 누군가는 이것을 정치적 프레이밍의 결과로 본다. 누가 이 상황에서 이익을 얻고, 누가 희생자인가라는 물음은 여전히 남아 있다. 환경 문제를 넘어 자원 배분과 지역 주민의 목소리 사이의 긴장이 이 이야기를 이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