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직 공무원 인사가 망가진 이유.blind
- 19:44
- 546 회
- 0 건

요즘 들려오는 소문 중 하나를 공유해볼게요. 지방직 공무원 인사 시스템은 마치 규칙이 자꾸 바뀌는 보드게임 같아 보이더라고요. 결국 어떤 사람이 어떤 부서에 가느냐는 실력보다 그때그때의 규칙에 좌우되는 분위기가 있대요. 기피업무나 기피부서로 발령 나는 경우, 육아휴직을 쓴 이들이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흘러간다는 얘기가 돌고 있어요.
최근 현장을 보면 육아휴직은 더 이상 남녀 구분의 금기나 지역 차원의 문제가 아니게 되었지만, 이게 오히려 승진의 사다리에도 영향을 준다는 소문이 많아요. 질병휴직 이력은 상급기관 전입을 거의 불가에 가깝게 만든다고들 하죠. 그래서 핫바지부서 같은 곳에서 버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평판이 한낱 그림자처럼 흔들리며 흑화 담론이 피어오르는 거예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지만, 지방직 공무원 인사 시스템의 균형 문제 같아요. 가족 여부에 따라 기회가 달라지는 구조가 수년째 굳어졌고, 이력 관리의 불투명성이 신뢰를 갉아먹고 있죠. 또 빽이 있는 이들이 요직을 숨 쉬듯 차지한다는 관찰은 현장의 긴장을 키웁니다. 결국 마음이 시들어간다면, 각자의 판단이 어디까지 합리적일 수 있을지 의심스러운 순간이 늘어난다는 거죠.
그래도 끝까지 확정적 결론은 피하고 싶다 보니, 독자 여러분의 시선이 궁금하네요. 우리는 이 시스템을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개선은 어디서 시작될지, 그리고 어떤 작은 장치를 하나라도 고치면 조금은 나아질지, 함께 생각해보면 좋겠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