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부산대 버린거 후회하는 동국대생.jpg

내가 부산에서 인서울 어중간한 동국대에서 나와서 말하게 된 것은 후회된다. 돈이 많이 들어가고 고향과 가족, 친구들과도 멀어졌다. 내 집도 중산층 수준이고 부모님께서 방세와 용돈을 꾸준히 주셨는데, 생활비를 생각하니 한 달에 거의 100만원이 부족하다. 마지막에는 코로나 시기에 알바도 구하기 어려워지고, 3~4학년 때 취업 준비를 해야 해서 정말 지옥같았다. 특히 코로나때 서울 원룸에서 혼자 있는 것이 너무 힘들었다. 우울증을 진단받을 정도로 힘들었고, 시험도 대면으로 보러 부산 왔다갔다하기도 힘들었다. 입결이 어쩌고 저쩌고하는 것들은 사회에서는 신경쓰지 않는다. 특히 비슷한 대학끼리는 비교를 하면 안 된다. 결국 취업의 질과 취업 후 학력연대를 따져야 하는데, 부산대와 경북대는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곳이라 동국대 보다 좋은 학벌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서울 생활이 너무 힘들었기 때문에 고향인 부산에서 취업하고 싶지만, 부산대가 이미 차있어서 학력 연결에서 밀림이 생기고, 결국 서울에서도 이득을 보지 못하고 부산은 말할 필요도 없다. 지방 할당제도에 대해서는 공기업 준비를 하지 않았지만, 만약 준비했다면 분노하고 있을 일이었다. 그래도 서울에서 처음 생활했을 때 1년 정도는 정말 즐거운 추억이었다. 고향에서는 서울에 간다고 부모님이 등골 브레이커라고 한다. 특히 친척들이 눈치를 준다. 그냥 지금 온 상황에서 국장 생활비 대출로 받은 1050만원과 모은 돈이 없이 20대를 보내는 것은 참 유감스럽다. 그냥 부산에서 집에서 통학한다면 지금쯤 어땠을까 생각해본다. 후회해봐야 의미없겠지만 결론은 뭐냐면, 한 달에 용돈 200씩 받을 수 있는 금수저가 아니라면, 애매하게 서울에 가면 어린 나이에 학생신분으로 돈 때문에 너무 고생한다.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645 겁없는 10대들 근황..ㄷㄷ 3,027 03-19
1644 헝가리의 파격적인 출산 혜택 3,022 03-18
1643 한국에서 야무지게 잘 먹고 놀고 가는 외국인들 2,732 03-18
1642 밝혀진 최민수 화생방짤의 진실 2,973 03-18
1641 주류 박람회는 재미있다 3,685 03-18
1640 까마귀 이불 덮어주기.gif 2,726 03-17
1639 비올때 고속도로 차선 잘 안보이던 이유 2,959 03-17
1638 송중기 재산 근황....ㄷㄷ 3,107 03-16
1637 172cm 81kg 한국 레슬링 역사상 최고 괴물 3,034 03-16
1636 배우 최민식 친동생(모르는 사람 많음) 3,957 03-15
1635 방탄 ‘RM’이 날린 한 방 3,376 03-15
1634 월수입 200은 중고수입차 사지 말라는 유튜버 2,797 03-15
1633 초급간부 위기를 대하는 어느 지휘관의 자세 3,399 03-15
1632 대기업이 인도로 진출하는데 망설이는 이유 2,428 03-14
1631 착시의 최고봉 2,671 03-14
1630 연진아 돈많은 부자가 아니라 검사랑 결혼을 했어야지.jpg 2,972 03-13
1629 '심장충격기(AED)'의 충격적인 진실 3,234 03-13
1628 고기집 앞에서 주인과 싸운 강아지 ㅋㅋㅋㅋ 2,779 03-13
1627 백지영이 북한가서 사온 술 원산지 2,837 03-12
1626 이승윤이 말하는 오토바이 타면 안되는 이유 2,879 03-11
1625 WBC 오늘 강백호가 해낸 일 3,135 03-10
1624 요즘 학폭가해자들의 대응방법.JPG 1 3,611 03-09
1623 품질의 삼성 근황 1 3,200 03-09
1622 2025년 스텔스 차량 사라진다. 3,720 03-07
1621 처음으로 돈 정산 받은 우크라이나 유투버 와이프.jpg 3 4,301 03-06
1620 찬호형의 레전드 답변 3,405 03-06
1619 급식이가 편의점에서 술 사는 방법.jpg 3,319 03-06
1618 미국 틱톡금지에 중국의 유체이탈 화법 3,545 03-05
1617 굉장히 골치아픈 충치.jpg 3,172 03-05
1616 JMS와 싸운 대학 교수의 말 3,209 03-05
1615 고려시대 일부다처제가 시행되지 못한 이유 3,367 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