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 35살이라는 여교사 월급
- 18:33
- 382 회
- 0 건



교사 연봉 이야기가 요즘 온라인에서 핫합니다. 특히 내년 35살이 되는 여교사의 월급 설이 떠돌면서 사람들 사이에 작은 전설이 만들어지죠. 숫자만 보면 방학 3개월의 여유와 각종 수당의 합, 그리고 공무원연금 같은 제도적 뼈대가 한꺼번에 떠오릅니다. 이 글은 그런 맥락의 실마리를 따라가 보려는, 한 편의 이야기를 시작하는 작은 시도예요.
기본급은 대략 350만 원대에서 시작하고, 담임·보직·가족·급식·연구 같은 수당이 합쳐져 총수당이 조금씩 붙습니다. 정근가산과 시간외수당이 여기에 얹혀, 월 실수령은 380만 원 안팎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여기에 성과급과 명절수당 같은 항목이 더해지면 월말에 남는 액수는 생각보다 크게 놀랄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공무원연금 체계 아래의 혜택이 더해지면, 장기적으로 보이는 그림이 달라지곤 해요. 이건 다소 복합적인 퍼즐 같아 보이죠.
신규교사의 연봉은 대략 4,000만 원대쯤이라고 들려오고, 정년을 앞둔 교사의 연봉은 1억에 달할 수도 있다네요. 시작 시기가 24살 정도이고 5년마다 약 1000만 원 정도 세전으로 오르는 구조를 감안하면, 경력과 직무에 따라 숫자는 크게 달라진다고 해요. 방학의 3개월도 쉬는 게 아니라, 학기 중에 연가를 거의 쓰지 못하거나 조퇴로 소진하는 현실이 겹쳐 있습니다. 자녀가 있으면 육아 시간도 늘어나 맞벌이의 소득과 외벌이의 자녀 케어가 맞아떨어지는 경우가 드물지 않죠.
결국 이 이야기의 핵심은 '누가 이 숫자의 그림을 구성하고, 누가 그 시간과 노동을 감당하느냐'일 겁니다. 방학의 의미나 연가 사용 같은 사소한 요소까지 함께 보면 더 생생하게 다가오죠. 여러분이라면 이런 구조 속에서 어떤 가치와 꿈을 우선순위에 놓을까요? 스스로의 눈으로 이 그림을 한 번 더 바라보며, 각자의 결정을 응원하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