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멸종 직전까지 갔던 3가지 사건.jpg
- 08:33
- 368 회
- 0 건

요즘도 역사 얘기를 들으면, 언제나 호기심이 샘솟는다. 현생 인류의 기원이라는 거대한 이야기가 빙하기의 그림자 속에서 시작됐다는 설들이, 여전히 우리 머릿속에 깃들어 있거든요. 이 이야기를 들추면 나오는 핵심 키워드는 빙하기와 대이동, 그리고 무엇보다 유전적 다양성이에요. 오늘은 그 단서들을 모아, 실제 사실 여부와는 상관없이 한 편의 상상극처럼 풀어보려 해요.
먼저 빙하기의 그림자를 떠올려볼게요. 93만년 전의 거대한 빙하기 속에서 생식가능인구가 1,280명으로 급감했다는 가설이 있대요. 이 충격은 약 12만년간 지속되었다고 전해지며, 그 사이에 유전적 다양성의 65%가 손실되었다고도 해요. 결국 이런 제한된 뼈대 속에서 근친교배가 늘었을 법하고, 오늘의 유전적 흔적들 대부분이 이 시점의 그림자를 닮았을지도 모른다네요. 상상으로만 보더라도, 이때의 작은 숫자가 오늘의 인류 전체를 좌우했다는 생각이 묘하게 와닿아요.
다음은 아프리카 기원설과 대이동 이야기다. 약 20만년 전 남부 아프리카에서 현생 인류가 처음 모습을 드러냈고, 당시 무리는 대략 200~600명으로 추정된다. 환경이 바뀌자 이 작은 무리들은 유럽으로 대이동했고, 그 길목에서 세상은 점점 다양해졌다. 기록 속에는 13만년 전 첫 이주, 11만년 전 두 번째 이주 같은 단서도 남아 있다. 이 작은 시작이 오늘의 거대한 인류를 만든 배경일지도 모른다는 생각, 당신은 어떻게 느끼나요?
마지막으로 7만년 전의 대재해가 남긴 그림자를 생각해 본다. 당시 인류는 불과 2,000명 수준으로 쪼개져 살아남았고, 약 40개 무리로 흩어졌다. 이 시기의 유전적 다양성은 침팬치의 1/4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주장이 전해지는데, 이게 오늘 우리 취약성의 뿌리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살아남은 이들의 후손이 지금의 문화를 만들었으니, 우리가 서로를 믿고 의지하게 된 계기였을지도 모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