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TLS 연결 끊김 해결 방법 - Kyber 비활성화

- 10-12
- 233,758 회
- 0 건

구글 크롬 및 크로미엄 브라우저에서 TLS 끊김 해결 방법
구글 크롬과 크로미엄 기반 브라우저에서 TLS 연결이 끊기는 현상은 최근 도입된 실험적 기능인 Kyber 지원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Kyber는 포스트 양자 암호화(Post-Quantum Cryptography)를 지원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이지만, 활성화 상태에서는 특정 네트워크 환경에서 호환성 문제를 일으키거나 연결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Kyber 비활성화 방법
1. Chrome 플래그 설정에서 비활성화
-
브라우저 주소창에 다음을 입력합니다:
chrome://flags/#enable-tls13-kyber
-
TLS 1.3 Kyber
항목을 Disabled(비활성화) 로 변경합니다. -
브라우저를 재시작합니다.
2. 콘솔 프로그램을 통한 비활성화
- Kyber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비활성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프로그램 실행 전 모든 브라우저를 종료해야 정상 적용됩니다.
- 해당 기능은 시크릿DNS v3.5.4 버전에 포함되어 있으며, Github에 소스 코드도 공개되어 있습니다.
Kyber란 무엇인가?
Kyber는 구글 크롬의 실험적 기능으로, HTTP/3와 QUIC 프로토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포스트 양자 암호화(PQC) 알고리즘입니다.
- 기존 RSA, ECC 암호화 방식은 미래의 양자 컴퓨터로 쉽게 해독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 Kyber는 이런 양자 위협에 대비해 설계된 암호화 기법으로, 양자 시대에도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입니다.
Kyber 활성화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 호환성 문제: 아직 실험적 기능이라 모든 서버와 네트워크 환경에서 지원되지 않아 연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성능 저하: 추가 암호화 연산 때문에 페이지 로딩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 인증서 충돌: 기존 SSL/TLS 인증서와의 호환성이 부족해 연결 실패나 경고 메시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충돌: Chrome의 다른 실험 기능과 충돌해 예기치 못한 오류가 생길 수 있습니다.
결론
Kyber는 미래 보안을 대비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이지만, 아직은 실험적 단계라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TLS 연결 끊김, 성능 저하, 호환성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크롬이나 크로미엄 기반 브라우저에서 TLS 문제가 발생한다면, Kyber 지원을 비활성화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입니다.
로그인 후 댓글내용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