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들도 아는 진실..jpg

- 08:38
- 764 회
- 0 건
불편한 진실
한 동네에서 들려오는 짧은 이야기가 시사점을 남긴다. 아이를 낳은 뒤 가정의 중심이 바뀌는 상황에서, 남편이 집에서 육아를 도맡는 모습이 이웃의 입에 오르내린다. “저 집 남자는 애 본다는 핑계로 집에서 논다”는 식의 판단이 함께 따라붙는다.
이 발언은 여전히 남아 있는 성별 분업의 편향을 드러낸다. 돌봄이 노동이고 가사일이 가치 있는 일임을 인정하는 사회적 합의가 아직 약하다는 뜻이다. 프리랜서 같은 유연한 직업 구조를 가진 가정에서도 남성이 육아를 맡는 선택이 늘고 있지만, 그마저도 낭만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가정의 역할 경계가 흐려지는 만큼, ‘가정주부’라는 전통적 맥락도 이 논의를 복잡하게 만든다. 남성의 육아 참여를 특별한 사례로 보는 시선은 여전히 강하고, 반대로 여성이 가사 노동을 하는 것에 사회가 상대적으로 당연함을 주는 구조가 남아 있다.
이 사례의 의도가 무엇인지는 애매하다. 남편이 실제로 육아를 더 많이 하는지, 임시적 상황인지, 아니면 단지 소문일 뿐인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그러나 핵심은 가정 내 노동의 분배가 성별에 따라 평가될 때 나타나는 편향이다.
시사점은 결국 정책과 문화의 결합이다. 육아휴직 제도와 남성의 출산‧육아 참여를 독려하는 직장 문화, 양성 평등 교육이 필요하다. 이 대화의 끝에 남는 것은 “집안일은 별일이 아니다”는 인식이 조금씩 넓어진다는 가능성일 뿐이다. 여러 해석의 여지를 남겨두며, 이 작은 이야기는 더 공정한 가정의 규범을 향한 사회적 대화를 촉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