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잠수함 식단비교

- 18:00
- 713 회
- 0 건
요즘 바다 속에서 벌어지는 식탁 이야기, 괜히 눈길이 가는 소문 하나가 돌아다닌다. 각국의 잠수함이 어느 정도의 ‘식단’을 유지하는지에 대한 짧은 단서들 말이다. 이건 사실 여부를 떠나, 수면 아래의 기술력 차이를 살짝 엿보게 만드는 재미있는 가설이다. 자, 그럼 단서들을 모아 상상력의 접시를 채워 보자.
먼저 입 밖에 오른 인상은 한국의 디젤전기함 쪽이다. 물과 전기가 귀하다는 특성상, 탑재 식량이 그만큼 조심스럽게 선택될 수밖에 없다고 한다. 우리 해군의 현실은 말하자면 냉장고가 좁고 전원이 늘 깜빡이는 상황일 때도 많다. 그래서인지 잠수함의 식단은 의외로 '제철 식재료의 절제'가 핵심 포인트처럼 들리기도 한다.
반면 미국의 원자력 잠수함은 전력의 여유가 남다 보니 식단에 여유가 생긴다고 한다. '풍부한 전기로 호화로운 식단'이 당연히 가능하다고 입에 담는 칼럼들도 있다. 러시아의 강국 이미지를 생각하면, 열악한 국력 속에서도 식단이 괜찮았다는 보도도 흘러나온다. 영국 쪽은 원자력 잠수함의 환기와 전기로 피쉬앤칩스를 만든다는 소문이 나오는데, 이건 과연 사실일까, 아니면 냄새나는 해석일까?
결국 이 이야기의 핵심은 기술력과 예산의 차이가 사람의 식탁까지도 다르게 보여주는 모습일지 모른다. 한편으론 생존을 위한 간소화와 승조원의 사기 관리 사이의 미묘한 균형일 수도 있다. 우리 일상에서도 작은 식단의 변화가 팀 분위기나 생산성에 바로 영향을 주듯, 바다의 모습도 그러하리라는 상상은 계속된다. 당신은 이 단서들을 어떻게 해석하겠는가, 바람처럼 흐르는 추측의 끝은 어디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