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늘고 있는 공원 민폐
- 00:40
- 608 회
- 0 건

공원 민폐, 요즘 이 도시의 공원에서 가장 핫한 화제처럼 떠다닌다. 사람들은 공을 치고, 잔디 위에 꽂힌 깃발들을 보며 웃다 지지 않는 마음으로 서로의 취향을 의심한다. 마치 골프장처럼 곳곳에 꽂힌 깃발과, 연습의 흔적이 남은 잔디 자국은 이 공간이 우리 모두의 놀이터인지, 아니면 특정 취미의 실험실인지에 대한 의문을 남긴다. 법이나 규칙이 명확히 정해져 있지 않으니, 서로의 경계선을 어디에 그어야 할지 애매해지는 분위기다.
배경을 들여다보면, 관리팀은 일주일에 한 번씩 잔디를 깎으며 이 공간의 모습을 다듬고 있다. 그 사이에 공을 치는 이들은 마치 잔디 관리자에 맞춰 스윙을 연습하는 듯, 공간의 흐름을 바꿔 버린다. 다 같이 쓰는 공간인데 왜 일부는 골프장처럼 잔디를 다듬고 표시를 남기는가, 하는 의문이 커진다. 파크골프장으로의 우회도 거론되지만, 접근성이나 시간의 문제로 여전히 여기에 남아 있는 이들이 많다.
제보 영상 속 분위기를 보면, 근처에 파크골프장이 있다는 이야기도 스며 있다. 또 한편으로는 이곳이 대학가와 가까워 학생들의 휴식 공간으로도 쓰일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약 2.8km 떨어진 곳에 파크골프장이 있다는 주장이 있고, 차로 7분 거리라는 정보도 들려온다. 그런 상황 속에서 왜 여기서 연습하는지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 시간 경쟁의 압박, 친구와의 모임, 혹은 도시의 속도감을 따라가려는 실험일지도 모른다.
이런 상황은 그래서 여러 시선의 충돌로도 읽힌다. 공원이 누구의 공간인지에 대한 근본 질문이 다시 떠오르고, 관리의 원칙과 이용자의 취향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진다. 한편으로는 작은 갈등이 커지며 지역 커뮤니티의 대화 창구가 열리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결론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이 이야기가 우리 동네의 공간이 어떻게 사용되기를 바라는지에 대한 서로의 관찰과 상상이 남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