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들 담배 훈계하려면 목숨 걸어야한다
- 09:48
- 352 회
- 0 건


요즘 '청소년 담배 훈계'가 SNS에서 핫하게 떠오르는 이슈예요. 서울 금천구에 산 A씨(49)의 이야기가 그 시작점처럼 들리죠. 며칠 전, 그녀가 집 앞에서 담배를 피우던 고등학생들을 꾸짖었다가, 이후 낯선 발걸음과 소음이 집 앞을 맴돌게 됐다고 해요. 결국 이사까지 고민하게 만든 이 악몽은, 세대 간 갈등의 온도를 한 번 더 올려놓은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런 현상은 도시 곳곳에서 다양한 모양으로 재현되곤 해요. 충청도 아산의 50대 남성이 중학생들을 꾸짖다 폭행을 당했다는 소식도 들리고, 전주 학원가의 한 강사는 비상통로에서 담배연기를 지적하다 학생들에게 밀려 경찰 수사를 받았답니다. 아이를 향한 질책이 왜 이렇게 강력한 공방으로 번지는지, 도덕 교육 붕괴라는 말까지 거론되는 이 시점에서 우리 어른들은 무엇을 남겨야 할까요? 왜 작은 지적이 이렇게 큰 충돌로 번지는지, 궁금증은 더해만 갑니다.
전문가의 목소리도 이 흐름을 놓치지 않죠. 정재기 숭실대 교수는 ‘연령 기반 서열관계가 사라져 가고 있다’고 말해요. 어른의 훈계 위치를 누가 정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흔들리며, 폭력으로 귀결될 위험도 함께 커진다는 해석이 많아져요. 그래서 지금은 더 이상 '나이 많고 적음'으로 누가 지도를 그리듯 타이르는 시대가 아니란 데에 동의가 모이고 있죠.
이야기의 포인트는 결국 우리 각자의 행동에 달려 있겠죠. 훈계의 경계가 어디에 있는지, 아이들의 반발에 어떤 책임이 있는지, 그리고 사회가 어떤 방식으로 이를 품어줄지에 대해 스스로 물음을 던지게 만들어요. 결론을 단정하기 어렵지만, 오늘의 작은 대화가 내일의 경계선을 더 건강하게 만들길 바라는 마음으로 끝을 남겨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