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에 한국식 볶음밥 만드는 영상 올렸다가 ㅈㄴ 욕처먹은 유명 셰프
- 10:28
- 392 회
- 0 건



최근 올라온 영상이 고개를 갸웃하게 한다. 한국식 볶음밥이라고 부르려는 듯한 레시피인데, 재료들이 너무 다양한데다 분위기가 어딘가 어색하다는 느낌이 강하다. 제이미 올리버가 한국 느낌을 살리려 했다는데, 과연 이 정도로 전달됐는지 의문이 남는다. 시청자 반응은 곧장 호불호로 갈리며, 댓글창이 폭발적으로 달리더라.
영상 속 주인공은 바스마티 쌀이라며 시작하는가 하면, 바베큐 소스에 스리라차까지 섞는 모습이 눈에 띈다. 한국 재료로 포장하려던 의도는 보이지만, 고추장이나 김치가 초반에 거의 등장하지 않는 점이 계속 거슬린다. 일부 시청자는 '한국 느낌이 맞나'라는 의문을 던지기도 하고, 반응은 곧장 논쟁으로 번지는 분위기다. 레시피 구성을 두고 '전통의 기운이 부족하다'는 말도 들려와서 서로 다른 기준이 엇갈리는 듯하다.
물컹한 논쟁들이 쏟아지자 우리 커뮤니티의 반응도 점점 뜨거워진다. 엉클 로저로 불리는 한 반응자는 영상이 한국 재료를 충분히 담고 있지 않다고 말풍선을 달았다고 들었고, 각자의 잣대가 갈린다. 김치의 존재감이나 배추를 활용하는 방식에 대한 얘기도 올라오지만, 실제로 영상에서 보여준 구성은 다소 이질적이라 걱정이 커졌다. 그래도 누가 옳다고 단정하기보단 서로 다른 시선이 존재한다는 게 재미있기도 하다.
결론은 아직 못 내리겠고, 한국식 볶음밥에 한국 재료를 얼마나 녹여 넣어야 하는가가 계속 화두로 남는다. 제이미 올리버가 선택한 조합이 과연 문화 간의 소통으로 받아들여질지, 또는 오해를 낳을지 아직 미지수다. 배추를 생으로 올린다거나 바스마티 쌀을 쓴 선택 같은 디테일이 남아 이곳저곳에서 얘기가 번져 다르게 해석될 여지가 많다. 한국 재료의 진짜 풍미를 찾고 싶은 마음은 남아 있지만, 결론 없이도 이런 소문과 감정들이 커뮤니티를 계속 움직이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