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배터리 진상녀 (울화통 주의)

- 14:38
- 692 회
- 0 건
진짜로 고소 해봤으면 좋겠네
수리하신분도 맞고소로..
이 사례는 저가 배터리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안전과 책임의 경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준다. 고객은 알리에서 배터리를 구입해 수리점에 교체를 의뢰했고, 수리점은 노동비 3만원을 받고 설치했다. 다만 이 배터리는 국내 KC인증이 없고 성능도 불확실하다고 미리 고지했다.
9개월 뒤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면서 액정이 금가고 터치까지 불능해진 현상이 나타났다. 부풀음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대표적 위험 신호로, 내부 압력이 화면으로 전달되면 파손과 화재 위험이 커진다. 이 경우 무엇이 원인인지 가려내는 일이 먼저 필요하다.
고객은 수리점에 “알리 판매자는 중국인이라 소통이 안 된다”며 무상 교체를 요구했고, 수리점이 이를 거절하자 경찰과 소보원에 신고하겠다고 위협했다고 전해진다. 갈등은 법적 대응 및 분쟁 해결 방식으로 넘어가고 있으며, 책임 소재를 둘러싼 논쟁이 본격화되는 지점이다.
수리점은 배터리가 안전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명확히 경고했고 KC 인증 부재를 고지했다. 그렇다고 문제가 생겼을 때 누가 최종 책임을 져야 하는지 단정하기는 어렵다. 제조·유통·설치 각 단계에서의 의무와 고지 여부가 쟁점으로 남는다.
이 핵심 이슈는 안전성과 인증이다. KC 인증은 국내에서 전기적 안전과 성능을 보증하는 제도적 장치이고, 해외에서 들여온 비인증 부품은 화재나 과열 위험을 키울 수 있다.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토대가 이 사례를 통해 다시 한번 드러난다.
수리점의 역할도 주목된다. 출처를 분명히 밝히고 설치 시 안전 고지를 충분히 했는지 여부가 판단의 포인트다. 비용 절감을 위해 비인증 부품을 선택한 결과가 불확실한 위험으로 전가됐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또한 이 사례는 공급망의 취약성도 드러낸다. 해외 판매처의 품질 관리 부재, 국내 안전 인증의 간극, 업계의 표준화 부재가 얽혀 있다. 이로 인해 ‘진상’ 프레임에만 집중하기보다는 구조적 문제를 들여다볼 필요가 커진다.
정책적으로는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비인증 부품 유통을 어느 선에서 허용할지, 수리점의 고지 의무를 어떻게 강화할지에 대한 규범이 앞으로의 예방책이 된다. 동일한 상황이 재현되지 않도록 시스템 차원의 보완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현장의 의사소통이 관건이다. 언어 벽과 출처의 불투명성은 갈등을 키울 수 있다. 차분하고 근거 있는 설명과 책임 분담의 명료화가 신뢰 회복의 실마리가 된다. 이 사례가 가져온 교훈은, 단순한 갈등 해소를 넘어 안전한 공급망과 투명한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