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카이스트 극우동아리 근황

 

 

 

최소인원 10명 필요한데 1명 모여서 실패함

오늘 카페에서 창밖 소식을 들으며, 가볍지 않은 이슈 하나가 마음에 남았다. KAIST 안에 극우 성향 동아리가 생겼다는 보도가 나왔고, 부정선거 음모론과 혐중 정서, ‘윤 어게인’ 같은 구호가 함께 거론됐다. 이 소식은 학문의 거리와 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되묻게 한다.
동아리의 등록은 처음부터 고민의 대상이었다. 최소 10명의 등록 인원이 필요했으나 마감 시점까지 실제로 등록된 사람은 단 한 명이었다. 심의 없이 자동으로 등록이 취소되었다는 설명은 학교의 관리 체계가 작동했다는 신호로 읽힌다.
이 사건은 단순한 가입 이탈의 실패가 아니다. 캠퍼스의 정치적 경계선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의 문제로 번진다. 자유로운 모임 구성의 원칙과, 극단적 이념의 확산 사이에서 선이 어디에 그어져야 하는지 촉각을 곤두세우게 한다.
배경을 보면 대학은 지적 실험의 공간으로 기대되지만, 온라인에서 번지는 편향된 메시지가 현실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하다. 동아리 형태의 모임은 토론과 견해 교환의 장이지만, 혐오나 차별을 정당화하는 도구로 변질되면 사회적 비용이 커진다.
20대에서 30대 초반의 직장인 여성 독자의 시선에서 이 문제는 직장 문화와 안전의 문제로도 연결된다. 서로 다른 목소리를 존중하는 분위기가 일의 리듬을 좌우하는데, 특정 이념의 확산이 불편함이나 차별을 정당화하는 분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제도적 대응이 상황을 억제했을 수도 있고, 온라인의 확산이 현실의 정책 반응을 촉발했을 수도 있다. 이 작은 사건이 학내 다원성과 표현의 자유를 둘러싼 논쟁의 한 축이 되었음을 보여주는지도 모른다.
오늘의 소식은 정보의 편향에 대한 경계심을 일깨운다. 무엇을 받아들이고 어떻게 비판적으로 판단할지, 공동체의 안전과 존엄을 어떻게 지켜갈지에 대한 근본적 물음으로 남는다. 한 잔의 커피를 마시며, 우리도 차분하게 생각의 리듬을 다시 맞춰보자.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한류가 오래되니 순간 무감각해진 유재석 221 13:58
카이스트 극우동아리 근황 560 12:18
초롱이의 분노 595 10:48
뇌출혈 온 장모님에게 장난치는 사위 665 09:08
40대 최다 사망 원인 1위가 처음으로 바뀜... 804 07:08
레고 갤러리의 동심.jpg 704 05:38
일찍 결혼해서 아기 낳으면 좋은 이유에 긁힘... 870 03:58
가짜의사 광고 강경대응.jpg 1,212 02:08
월 3000버는 변호사가 결혼 포기한 이유 ㄷㄷ 1,279 00:08
싱글벙글 공공임대주택 근황 1,340 10-02
조선시대 노비 이름 짓는 법.jpg 1,335 10-02
한 중국인의 김치에 대한 견해. jpg 1,655 10-02
돈 많은 남편 만나는 방법 1,472 10-02
혼자 삼겹살 2인분째 처먹고 있는데 옆테이블에서 야 이런 데를 혼자 어떻게 오냐~라고 함 1,611 10-02
25살여자와 소개팅한 33살 남자ㅠㅠ 1,697 10-02
고유정 이은해 근황 1,874 10-02
방송 중인걸 자꾸 까먹는 여자 아이돌 1,425 10-02
요즘 20대 여자들은 오빠라고 부르기 힘드니? 1,592 10-02
치과 가는 타이밍 아는 법. 1,740 10-02
중국 소개팅 430만원 1,661 10-02
블라를 대통합 시켜버린 질문 1,591 10-02
월급 적고 줄일 곳 없다는 블라.ㄷㄷㄷㄷㄷ 1,800 10-02
대표적인 유방암 발생 원인 1,840 10-01
신나는 명절 떡값 공지 1,978 10-01
선보고 6개월만에 결혼한 여자 1,576 10-01
병무청을 이긴 카카오톡.jpg 1,816 10-01
케데헌 근황 뭐냐ㅋㅋㅋㅋ 1,818 10-01
경기도 부천역 BJ 탐방하러 갔다는 유튜버 1,508 10-01
남편 자는 모습이 신기했던 사람 1,901 10-01
여직원이 자꾸 질척대요.txt 2,075 10-01
삼겹살 구울때 김치올렸다고 혼났어요 ㄷㄷ.jpg 1,873 10-01
강남언니야IT기술결혼준비회생의길망치와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