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제했는데 무인점포에 일주일 동안 사진 박제된 초등학생.jpg
- 09:44
- 541 회
- 0 건




초등학생 손님이 결제 계좌에 자기 이름과 상품명까지 적어서 입금했는데
절도범으로 간주하고 무인점포 사장이 초등학생 CCTV 사진을 벽에 박제...
아이 엄마는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겠다고 함
참고로 금액은 800원...
무인점포를 둘러싼 소문 하나가 우리 동네를 스치고 지나간다. 초등학생이 결제 기록에 본인 이름과 상품명을 남겼는데, 이게 왜인지 도둑의 흔적으로 취급된다 한다. 매장 주인은 CCTV 화면의 사진을 벽에 박제했고, 아이의 얼굴이 일주일째 걸려 있는 모습이 상상만으로도 섬뜩하다. 아이의 엄마는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겠다고 분노를 쏟아낸 상황이다.
배경을 살펴보면, 24시간 운영되는 무인점포의 자동화가 만들어낸 이중성처럼 느껴진다. 결제 기록은 남아도, 한 번 박제된 흔적은 마치 확정된 증거처럼 여겨질 수 있다. 우리 동네에서도 이런 일이 남의 일이 아닌 나의 일일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묻고 싶다, 아이가 결제의 주체로 남는 대신 오해의 표적이 되어버릴 위험은 정말 피하기 어려운 걸까?
사건의 직접적 단서는 작지만, 금액은 의외로 작지 않다. 800원짜리 물건인데도 벽에 붙은 사진은 일주일간 돌고 도는 이야기의 원천이 되었다. 업주 측은 계산 안 한 줄 알고 사진을 붙였다고 해명하지만 그 말이 곧 신뢰의 문을 다시 여는 건 아니다. 같은 공간에서 벌어진 작은 실수가 누군가의 평판을 한꺼번에 흔들 수 있다는 걸 우리 모두 눈으로 확인했다.
이 사건은 단순히 한 아이의 실수로 끝나지 않는다. 무인점포의 기록 관리, 명예훼손의 위험, 부모의 대응 사이에서 우리가 찾는 균형은 무엇일까. 현장의 작은 오해가 커뮤니티의 신뢰를 무너뜨리지 않도록, 서로의 입장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해결점을 모색해야 한다. 결국 이 이야기가 남기는 여운은, 당장 결론은 없지만 우리 시선이 앞으로 어디로 향할지 계속 고민하게 만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