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를 당해 구급차를 타도 병원엔 갈 수 없음
		- 17:28
 - 548 회
 - 0 건
 












요즘 핫한 이슈, 응급실 뺑뺑이 이야기가 또 떠올랐다. 병상 부족이 빚은 이송 거부, 그리고 외상센터의 빈 자리가 한 사람의 생사를 가르는 순간을 포착했다는 소문이 돈다. 이건 단순한 뉴스가 아니라, 우리 삶의 급류를 건들고 있는 작은 드라마 같다. 결론은 아직 보이지 않지만, 한 줄의 의문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
단독 영상처럼 포착된 순간들 사이에서, 구급대원들의 통화 기록이 다이얼처럼 울려 퍼진다. '현장에서는 의식이 명료한 상태였는데, 바이탈은 급격히 흔들렸다' 같은 말들이 반복되며 병원으로의 이송이 점점 더 어려워진다고 한다. 병원마다 '배정 완료'가 안 되었고, 이송이 지연될수록 환자의 상태는 더 악화됐다. 이런 상황에서 배후진료의 가능성도 계속 고민거리로 남는다.
배경에는 늘 자원 배치의 불균형이 자리한다. 도심의 병상은 금처럼 귀하고, 외상 전문의의 숫자는 모래성 같다. 현재 상황은 병상 부족의 실전 버전처럼 보이며 이송 거부가 반복될수록 환자의 상태는 악화된다. 그래서 이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선택은 무엇일까, 당신이라면 어떤 기준으로 행동할까?
한여름밤에 들려오는 전화 벨소리처럼, 이 이야기의 끝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병상과 이송의 경계선 위에서 작은 결정들이 한 사람의 생을 좌우한다는 사실은 변함없다. 그래서 나는 이걸 '사소한 불편'으로 넘길 수 있을지 궁금하다. 우리 각자의 관심과 행동이 앞으로의 흐름을 어떻게 바꿀지, 천천히 지켜보며 생각을 남겨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