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보드 사망사건 가해학생 부모의 절규.jpg
- 11:36
- 395 회
- 0 건



























전동킥보드가 우리 동네를 다시 한 바퀴 흔들었다. 면허가 필요한 탈것인데, 그날은 미성년자 두 아이가 탑승했다는 소식이 먼저 떠올랐다. 노인이 사고로 쓰러졌고, 뇌출혈로 생을 마감했다는 소식은 아직도 귀에 맴돈다. 보험 적용과 면허 제도 같은 키워드가 이 사건과 함께 등장하는 걸 보면, 우리가 놓친 안전의 불씨가 어딘가 남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들 중 한 명의 부모는 최근 인터뷰에서 아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피해자 가족에게 깊이 사과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왔다. 동시에 공유킥보드 업체가 미성년자의 탑승을 막는 장치를 마련하지 않았다고 비판하자, 업체 측은 법적으로 면허 등록 정보를 강제할 수 없다고 응수했다. 이 부분이 이 이야기의 핵심 포인트다. 면허 없이 타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면 보험이 어떻게 작동하느냐, 이게 과연 공정한가?
사건은 가족 법원으로 넘겨졌고, 아이의 아버지는 가정법원의 판단 아래 피해자 측에 일부를 전달했다고 들려온다. 보험사는 구상권을 청구했고, 법원은 결국 부모의 책임으로 비용 부담을 정리했다는 소식이 따라붙는다. 이 흐름 속에서 우리는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할까? 공유킥보드의 안전성과 서비스의 책임은 어디까지인지, 이용자들의 의식 변화는 언제 시작될지 궁금하다.
결론은 아직 모호하다. 다만 이 이야기가 우리에게 남기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기술이 편리해질수록 책임의 범위도 함께 넓혀야 한다는 것, 그리고 법과 보험이 제 역할을 할 때에만 안전이 실제로 다가온다는 것. 여러분은 이 상황에서 어떤 점이 가장 중요한 변화로 보이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