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도 아부지의 드립력
- 11-16
- 405 회
- 0 건

충청도 아버지의 드립력은 벌초 현장에서도 빛이 난다. 나는 산소를 보며 땀을 닦던 순간에도 그분의 입담이 작업복 소매 사이로 흘러나오는 걸 들었다. 무거운 분위기를 말 한 마디로 가볍게 만드는 힘은, 지역 특유의 농담 감각에서 나온다. 이렇게 신나게 말하다 보니 땅도 빨리 정리되고, 우리도 모르게 웃음이 터진다.
벌초를 하다 보니, 땀으로 반짝이는 이마를 보며 아버지가 갑작스러운 농담을 던진다. '내가 죽으면 화장해서 가족들끼리 한 자리에 모여 달라' 정도의 톤인데, 그 한 마디가 오히려 우리를 더 가깝게 만든다. 그의 어눌하지만 진심이 느껴지는 말투 덕에, 묵직한 기억의 무게도 한순간 경쾌하게 바뀐다. 그게 가족 사이의 거리감을 줄이는 비밀스러운 약재처럼 느껴진다.
요즘 온라인에서 그의 대사는 '충청도 특유의 직진 유머'로 다시 해석된다. 일부는 이 드립을 통해 애착을 표현하는 방식이라고 보고, 또 다른 누군가는 노년의 솔직함이라고도 한다. 이처럼 해석이 달라지니 벌초 현장은 작은 방송국이 된다. 여러분은 이런 농담이 가족의 연결고리를 더 강하게 만든다고 생각하나요?
결론은 아직 모른다. 다만 이 드립력은 우리 세대의 공통 도구처럼 느껴진다. 남은 건 여운과 관찰자의 시선뿐이다. 너라면 이런 상황에서 어떤 한 마디를 던져 분위기를 바꿀 수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