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Leak Test 관련 질문

- 07-13
- 3,647 회
- 1 건
https://www.dnsleak.com/
https://browserleaks.com/dns
위 사이트들에서 시크릿 DNS를 활성화한채로 DNS Leak Test를 진행하면 제 원래 통신사 ISP와 Cloudflare 두 곳 모두 표시됩니다.
이건 시크릿 DNS의 정상적인 동작인가요?
Adguard를 통해 DNS를 변경했을때는 Cloudflare만 나오는것을 확인했습니다.
https://browserleaks.com/dns
위 사이트들에서 시크릿 DNS를 활성화한채로 DNS Leak Test를 진행하면 제 원래 통신사 ISP와 Cloudflare 두 곳 모두 표시됩니다.
이건 시크릿 DNS의 정상적인 동작인가요?
Adguard를 통해 DNS를 변경했을때는 Cloudflare만 나오는것을 확인했습니다.
-
-
시크릿 DNS를 사용할 때 DNS Leak Test 사이트에서 원래 통신사 ISP와 Cloudflare가 모두 표시될 수도 있습니다.
시크릿 DNS는 윈도우 네트워크 설정을 바꾸지 않고, 프로그램 내부에서만 DNS 요청을 우회합니다.
이렇게 시스템 설정을 건드리지 않고도 DNS를 변경하는 방식은 제가 알기로 시크릿 DNS가 거의 유일한 방식입니다.
그래서 테스트 사이트에서는 윈도우에 등록된 원래 DNS(통신사 DNS)와 실제로 우회되어 사용되는 Cloudflare가 동시에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PC는 여전히 통신사 DNS를 사용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웹사이트 접속 시에는 시크릿 DNS가 Cloudflare로 요청을 보내는 구조입니다.
반면, AdGuard처럼 DNS를 시스템 전체로 바꾸는 방식은 Cloudflare만 나오게 됩니다.
만약 시스템 전체를 확실하게 우회하고 싶다면, 네트워크 설정에서 DNS를 직접 변경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시크릿 DNS는 설정 변경에 의한 오류나 인터넷 장애 위험이 적어서 초보자에게 유용합니다.
즉, 시크릿 DNS의 특성상 두 곳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 정상이며, 실제 웹 트래픽은 Cloudflare를 사용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25-07-14
로그인 후 댓글내용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