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FSD만 사용해서 미국 대륙 횡단하기

- 17:48
- 284 회
- 0 건
요즘 자동화의 그림자로 우리 일상도 조금씩 바뀌고 있다. 한 유튜버가 테슬라 모델 Y에 FSD를 켜고 미국 대륙 횡단에 도전했다. 시작부터 손을 거의 놓은 채 ‘자동으로 가능하다’는 분위기가 있었지만, 주행 중반에 예기치 않은 신호가 등장했다.
60마일 즈음, 고속도로 앞에 물체가 떠올랐다. 물체를 보자 FSD가 이를 피하거나 즉시 경고를 주지 않았고, 주변 차량은 비교적 자연스럽게 지나갔다. 차체가 낮은 모델 Y였다는 점이 충격의 여지를 남긴 듯 보였다는 뉘앙스도 함께 전해진다.
이 사례는 자율주행 시스템의 인지 한계에 대한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FSD가 물체를 식별하고 판단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환경 조건, 그리고 인간 운전자의 지속적인 주의가 여전히 필요하다는 메시지로 읽힌다.
또한 자동차가 예측하지 못한 물체를 만났을 때의 비용 문제도 만만치 않다. 기사에 실린 부품 명세와 수리비 규모를 보면, 예기치 않은 충격이 재정적 타격으로도 이어질 수 있음을 생각하게 된다.
사회적으로는 책임의 주체를 둘러싼 논쟁도 커질 수 있다. 제조사 입장은 시스템 안전성 강화의 메시지를, 소비자는 여전히 ‘운전자의 주의 의무’에 대한 기대를 남긴다. 규제 당국의 가이드라인도 아직은 모호한 부분이 많다.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남아 있다. FSD의 한계로 인한 위험 가능성, 운전자의 관리 부재 가능성, 특정 물체의 예외적 특성, 혹은 하드웨어 설계의 취약성 등 요인은 서로 배타적이기보다 겹쳐 보인다.
일상에 비유를 빌려보면, 한 잔의 커피가 주는 여유를 느끼듯 우리도 알고리즘의 판단을 믿되, 긴급 상황에서는 직접 제어의 손길을 남겨두어야 한다. 자동화가 주는 편리함은 분명 있지만, 여전히 사람의 눈과 직감이 뒷받침될 때 안전은 더 견고해진다.
결국 이 케이스는 ‘완전한 자동화’의 도달이 아직 멀었음을 상기시킨다. 앞으로의 방향은 시스템의 예외 처리 강화와 운전자 모니터링의 보완, 그리고 명확한 규제 프레임의 확립 같은 여러 경로가 함께 가야 한다는 가능성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