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CEO역할 (ceo,cfo,cmo,coo,cto,cio,cco)

  • 07-06
  • 17,841 회
  • 1 건
CEO는 반드시 회사의 President인것은 아니다.
선진국형 기업일수록 CEO의 역할도 분업된다.
그리고 기업조직이 커질수록 의사결정과정이 복잡해지므로
역할을 나누고 각 부문을 책임질 경영자가 필요한것이다.

CEO와 비슷한 약자로는 CFO, CIO, CTO, CSO, COO, CMO, CCO, CRO, CBO가 있다.

CEO (Chief Executive Officer)최고대표이사 : 회장과 동급, 실질적인 경영결정권을 갖는다.

CFO (Chief Financial Officer)최고재무경영자 : 재무 최고경영자

CIO (Chief Information Officer)최고 정보경영자 : 간혹 CCO(Chief Communication Officer와 혼용 되기도 하는데, 기업 홍보경영자, 정보경영자

CTO (Chief Technology Officer)최고기술경영자 : 회사의 기술개발 전체를 총괄하는 경영자

CSO (Chief Security Officer)최고 보안경영자 : 기업의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기업 기밀과 기술기밀 등 보안관련 최고경영자

COO(Chief Operating Officer)최고운영경영자 : 기업 내부의 사업을 담당하는 총괄책임자, 일반적으로 사장이 맡음.

CMO(Chief Marketing Officer)최고마케팅경영자 : 회사의 마케팅 부문 전체를 담당하는 총괄책임자

CCO (Chief Compliance Officer)최고감사책임자 : 회사의 경영과 준법 관련 책임자

CRO(Chief Risk Officer)최고위기관리책임자 : 기업활동에 있어서의 수 많은 위험에 대한 대처를 위한 최고 책임경영자를 두는 기업도 있다.

CBO(Chief Brand Officer)최고 브랜드경영자 : 브랜드의 가치와 중요성이 높아지면서브랜드관리를 기업경영의 최고 차원에서 관리


한 두명의 CEO 만으로는 거대기업 경영 어렵기 때문에
피터드러커는 “권한이양은 목표달성의 방법” 이라고 주장한다.
 
CEO 권한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권한 축소가 아니라 분권화·전문화되는 것이다.
CEO의 역할은 나눌수록 커지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2000년대 들어 외국기업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퍼져나가 벤처기업 등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CEO의 역할은 CFO(재무), CTO(기술), COO(사업), CIO(정보), CMO(마케팅), CBO(브랜드), CCO(홍보) 등으로 구분되며 이밖에도 등 해마다 수많은 CEO 관련 조어가 등장하고 있다.
조동성 서울대 교수는 이와 관련, “중진국 단계에선 유능한 창업자가 필요하지만 선진국에 진입하려면 전문경영인 층을 두텁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CEO역할이 날로 다양해지는 것은 한 두사람의 유능한 CEO만으로 큰 기업을 경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반도체, 전제제품, 정보통신 등 다양한 업종으로 나눠져 있어 대표이사만 5명이나 되고 사장 직함만 10명이 넘고 있다.

외국 기업 “CEO권한 분리는 대세”
성공적인 CEO 권한 이양은 외국기업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소유와 경영, 감독과 경영의 분리 차원에서 오너와 CEO의 분리 현상이 빈번한다.
세계 최대 반도체회사인 인텔은 1998년 앤드류 그로브 회장이 겸임하고 있던 CEO직을 크레이크 배럿 현 CEO에게 이양했다.
세계최고 PC업체인 델은 최근 마이클 델 회장이 CEO자리를 케빈 롤린스 사장에게 넘겨줘 오는 7월 중순부터 롤린스가 CEO를 맡게 된다. 롤린스 사장은 앞으로 전략과 운영을 담당하고 델 회장은 기술개발과 연구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세계 2위 소프트웨어업체인 오라클은 27년간 막강한 권력을 행사해오던 래리 엘리슨이 회장직을 내놓고 CEO직만 갖기로 했다. 새 회장에는 오라클의 CFO인 제프 헨리가 임명됐다. 이는 엘리슨에 집중된 권한을 분산시키기 위한 조치였다. 오라클의 주주들은 2000년 당시 사장이던 레이 레인이 화사를 떠난 후 엘리슨에게 권한이 과도하게 집중되자 이를 개선할 것을 요구해왔다.
이와 반대로 외압에 못 이겨 권력을 이양한 기업도 있다.

미국의 대표 엔터테인먼트업체인 20년간 디즈니를 이끌어왔던 마이클 아이즈너는 43%의 주주들로부터 불신임 표를 받은 뒤 회장직을 내놓고 CEO직만을 유지하는데 합의했다. 디즈니는 최근 수년간 영화 흥행 실패와 잇따른 주가 하락 및 실적 부진으로 경영진의 퇴진과 경영권 분쟁이 노골화됐었다.

마이크로소프트사(MS)는 정부의 압력에 권한이 분산된 사례다.

지난 2000년 반독점소송으로 곤욕을 치르던 빌 게이츠 회장은 정부의 압력과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CEO직을 내놓고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 이로써 회사 분할 명령까지 받았던 MS는 자구책을 마련, 2002년 소송을 마무리짓고 경영정상화에 안착했다.

이와 함께 CEO로 기용된 스티브 발머는 재정과 운영권한을 사업부문별 책임자들에게 과감히 이양하는 등 조직위주의 경영체제를 구축해나갔다. 이로써 빌 게이츠 중심의 1인 경영체제에서 벗어나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권한이양 첫걸음 ‘신뢰쌓기’

이처럼 거대조직들은 CEO의 권한위임을 성장의 필수과정으로 여기고 있다. 조직이 커지고 복잡해지면 보고체계와 의사결정이 늦어지고 결국 경쟁에서 뒤쳐지기 마련이다.

반면 CEO 권한을 분산하면 놀라운 업무속도와 효율성 향상을 얻을 수 있다고 경영 컨설턴트들은 조언한다. 결국 권한이양은 경쟁력 있는 조직을 위한 핵심요인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CEO 권한이양이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다.

몇몇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CEO에게 권한이 몰려있는 실정이다. 한정된 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주면 그만큼 권한의 양이 줄어든다고 오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CEO들은 권한이양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세계적인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는 CEO 권한 이양은 기업 목표달성의 수단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권한이양(delegation)이란 어떤 일을 떼어내어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위임하려는 것이 아니라 진정 자기 자신의 과업을 수행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그것이야말로 목표달성을 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일찌감치 CEO 역할 분담을 논의한 우리나라 CEO들도 있다.

그룹 창업주이자 오너였던 고(故) 최종현 SK 회장은 “CEO는 시시콜콜한 일을 챙기기보다 회사의 큰 갈림길에서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며 CEO역할에 대한 선택과 집중 전략을 제의한 바 있다.

그런 의미에서 CEO는 업무담당자가 아니다.

박성주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장은 “오케스트라 연주자가 완벽한 음의 조화를 만들어내듯 CEO는 권한이양으로 조직 전체를 경영할줄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CEO 권한이양이 수월해지기 위해서는 조직원에 대한 CEO들의 믿음이 필요하다. 그들의 능력을 믿어야만 권한을 넘겨줄 수 있기 때문이다.

조직원의 능력을 믿기 위해선 직원들의 능력배양에도 힘써야 하며 동기부여도 중요하다. 이런 조직원과는 기업의 비전을 공유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목표를 단시간내에 달성할 수 있다
    • 참고하겠습니다.감사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284 배우 윤경호가 연기의 벽을 느꼈을때 517 13:28
4283 일본 세습정치 근황.jpg 732 10:08
4282 자동차 에어컨 숨겨진 기능 2,202 07-20
4281 회사 경리 난이도 수준.jpg 2,272 07-20
4280 남자들은 안본다는 프로그램 ㄷㄷㄷ JPG 2,421 07-19
4279 현금다발 진짜인가 ㄷ ㄷ ㄷ 1 2,646 07-19
4278 한국이 선진국이라 생각하는 일본 mz들 2,988 07-19
4277 어느 대기업의 중소기업 죽이기 7년 후 2,978 07-19
4276 한국 관광객 목숨 지킨 마지막 10초 3,272 07-19
4275 전 남친이 헤어진지 6개월만에 결혼해서 멘붕온 여자 3,369 07-19
4274 말 이쁘게 하는 연대녀 3,417 07-19
4273 20년전 동서식품 장학생 으로 뽑힌 사람의 후기 3,422 07-19
4272 시골 교회의 멤버십 비용..jpg 1,915 07-18
4271 29살 발레 강사가 원하는 남자 결혼 조건 .jpg 2,166 07-18
4270 저출산 정책에 소신발언하는 개그우먼 김지선 2,013 07-18
4269 생수통 18.9L , 뚱캔 355mL인 이유 2,155 07-18
4268 박문성 인스타 ㅋㅋㅋ.jpg 1,890 07-18
4267 한국 공익의 위엄 2,136 07-18
4266 절대 신용불량자가 되어서는 안되는 이유.jpg 2,016 07-18
4265 네이버 최종합격 했는데 불안하다는 경력직ㄷㄷ.jpg 2,203 07-18
4264 로또 터졌다는 개그맨 김준호 ㄷㄷ JPG 2,110 07-17
4263 소개팅에서 함부로 차면 안되는이유 ㄷㄷㄷ 2,129 07-17
4262 과민성 대장 증후군 특징..jpg 2,113 07-17
4261 트럼프 이거 보통 미친놈이 아니네 2,367 07-17
4260 요즘 교사들의 최고의 체벌.jpg 1,995 07-17
4259 변산 해수욕장 근황..jpg 1,979 07-17
4258 40대초 퇴사 고민하는 직장인.jpg 1,994 07-17
4257 한국인 UFC선수가 일본 사우나에 못들어간 이유 ㄷ.jpg 2,235 07-17
4256 드디어 법적 금지됐네요 ㄷㄷㄷㄷㄷㄷ 2,158 07-16
4255 멀티탭 선 정리하면 안되는 이유 1,982 07-16
4254 연예인 때려치고 사업하려는데 역주행때문에 다시 연예인 됐다는.. 2,301 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