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의사 광고 강경대응.jpg

- 02:08
- 542 회
- 0 건
오늘도 온라인을 스치듯 지나가는 의사 광고를 보며, 한두 번은 속아 넘어갈 듯한 마음이 들기도 한다. 가짜 의사나 AI 의사가 건강 정보를 팔아대는 현실은 우리의 신뢰를 조금씩 흔들고 있다.
왜 이 광고가 위험한가를 묻자, 전문가는 듯한 말투와 숫자의 포장으로 검증되지 않은 주장들을 늘어놓기 때문이다. 누가 근거를 뒷받침하는지, 어떤 자료가 뒷받침되는지 가려보기 전엔 판단의 방향을 놓치기 쉽다.
최근 정부의 강경 대응 선언과 플랫폼의 광고 규제 강화는 이런 흐름에 제동을 걸려는 시도다. 그러나 규제가 곧 신뢰를 회복시킨다는 보장은 없고, 광고 구조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소아비만 치료를 둘러싼 광고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아이의 건강은 물론 성장과 발달까지 연결되기에, 부모의 불안감을 악용하는 메시지는 더 큰 위험으로 돌아올 수 있다.
학계의 시선은 냉정하고, 개인 차를 고려한 조심스러운 권고가 많다. 임상 근거가 아직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치료를 일반화하는 광고는 문제의 시작일 뿐이다.
유럽에서 들려오는 ‘먹는 성장인자’ 같은 충격적 사례도 있다. 과학적 근거보다 자극적인 문구가 먼저 다가오는 광고는 소비자의 기대를 부풀려 실망으로 이어지곤 한다.
온라인에서의 의사 권위는 화면 속 친절한 미소와 전문 용어로 쉽게 포섭될 수 있다. AI 의사나 가짜 의학 영상이 제시하는 진료의 모습이 신뢰를 흐리는 그림자다.
YouTube 의사나 영양제 추천 영상은 알고리즘이 만든 합성물이기도 하다. 검증되지 않은 효과를 광고 문구로 포장하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는 맥락과 근거를 함께 봐야 한다.
특히 20~30대 직장인 여성 독자에게 이 문제는 더 와닿는다. 시간은 한정돼 있고 정보는 많아, 빨리 결론을 내려야 할 것 같은 압박이 광고의 매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실천은 단순하다. 의심의 루틴을 만들고, 광고의 출처와 근거를 확인하며, 가능하면 두세 곳의 전문의 의견을 비교해 보자.
일상 속 비유로 보면, 한 잔의 커피에서 여유를 찾듯, 건강과 관련한 결정도 천천히 정보를 음미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급한 광고의 달콤함에 몸을 싣지 말자.
신뢰는 눈에 보이는 속도보다 깊은 근거에서 자란다. 광고의 유혹을 지나치지 않고도 안전하게 선택하는 문화가 우리 삶의 질을 높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