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있었던 중세시대 알람시계.jpg

- 15:08
- 461 회
- 0 건
초가 당시에 아주 비쌌을 텐데..
(1년 방을 밝히는 비용으로 환산하면 지금도 비싸긴 하지만... )
오늘의 시사 해설은 중세 알람 양초 이야기에 마음을 빌려 본다. 시간을 관리하려는 인간의 습관은 시대를 넘나들며 반복되었고, 오늘날 우리가 의존하는 도구의 뿌리도 여기에 숨어 있다.
양초는 타는 속도대로 시간을 알려주었고, 사람들은 못을 꽂아두어 깨우는 의식을 만들었다. 한두 개의 못으로도 늦지 않으려 애쓴 그 자세는, 현대의 '5분 후 다시 알람' 같은 백업을 떠올리게 한다.
그 시대의 기술은 아직은 제한적이었지만, 시간은 여전히 노동과 사회적 책임의 리듬이었다. 양초의 불은 생활의 규칙을 시각화했고, 사람들은 그 불빛에 기대며 하루를 시작했다.
이런 배경을 볼 때, 기술 진보가 항상 우리를 더 자유롭게 만드는 건 아니라는 점이 떠오른다. 편리함이 주는 안정감은 때로 불안의 근원을 덮는 작용을 하고, 도구에 대한 의존은 스스로의 선택권을 잠시 내려놓게 만들기도 한다.
그 시각은 다양한 해석을 낳는다. 안전장치로서의 가치를 인정하는 목소리도 있고, 일상의 의식으로서의 의미를 더 깊이 들여다보자는 관점도 있다.
오늘의 우리도 비슷한 질문에 직면한다. 스마트폰 알람이 많아도 결국 아침의 결정을 내리는 주인공은 우리 자신이다. 도구가 주도하든, 자기 관리가 주도하든, waking up의 선택은 여전히 개인의 몫이다.
한 잔의 커피가 주는 여유를 느끼며, 오늘의 리듬을 찾아보자. 작은 루틴 하나가 하루를 버티게 하고, 사소한 선택이 더 나은 내일을 열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