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 4억 들여 '보훈아이돌'...일명 보훈돌

- 02:38
- 538 회
- 0 건
전형적인 탁상행정..
그돈으로 유공자분들 쓰러져가는 집 수리나 좀 제발..
왜 정권이 바뀌어도 이런 쓰래기같은 정책을 내는 사람이
남아있는 걸까요
요즘 뉴스에서 들려오는 이슈가 있는데, 저는 커피 한 잔의 여유를 떠올리며 이 이야기를 차분히 풀어볼게요. 광복 80주년을 맞아 보훈부가 ‘국가보훈돌’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내놓았고, 혈세 약 4.4억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여기에 유튜브 크리에이터 우정잉 등 다양한 참여가 더해진 뮤직비디오 ‘꺼지지 않는 빛’이 핵심 콘텐츠로 소개됩니다.
가장 큰 쟁점은 바로 이 지점이에요. 공적 자금을 이렇게까지 투입해 팝 문화나 엔터테인먼트를 다루는 것이 사회적으로 타당한가라는 물음이 먼저 따라옵니다. 기억의 전달과 예우의 형식을 어떻게 정당화할지에 대한 고민이 뒤따르는 거죠.
또한, 유공자들 사이에서 반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들은 “우릴 가볍게 여기는 것이냐”고 반문하며, 기억의 무게가 엔터테인먼트의 트렌드와 맞물려 다뤄지는 방식을 불편해합니다. 상징적 행위가 실제 기억의 가치와 거리를 두지 않을지 우려가 남는 대목이에요.
크리에이터의 참여는 또 다른 축을 만듭니다. 유명 인플루언서가 국가 기념 사업의 얼굴이 되는 현상은 참여의 폭을 넓혀 주지만, 동시에 독립성과 진정성에 대해 질문을 남깁니다. 메시지의 순수성이나 편집의 의도가 대중의 신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 보게 됩니다.
예산 구조를 보면, 1편당 약 1500만 원대의 제작비로 여러 편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보이죠. 짧은 시간에 메시지를 확산하려는 의도로 읽히기도 하지만, 이 금액이 실제로 얼마나 큰 사회적 효과를 낼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습니다. 비용과 효과의 괴리가 사회적 신뢰를 흔들지 않을지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억의 전달 방식이 바뀌면 수용층도 달라집니다. 뮤직비디오가 어떤 방식으로 보훈의 메시지와 공동체의 기억을 포장하느냐에 따라, 일상 속 공감이나 기억의 재해석에 미치는 파장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단순한 영상 하나가 오랜 시간의 기억을 재배치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죠.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 상황입니다. 일부는 현대적 해석으로 긍정적 신호를 볼 수 있지만, 다른 이들은 보훈의 본질이 미디어 콘텐츠의 트렌드나 유명인의 참여에 좌우되는 듯 보이는 점을 지적합니다. 이 부분에서 공익과 표현의 자유 사이의 경계가 또렷해지죠.
일상으로 비유해 보면, 한 잔의 커피가 주는 여유를 느끼며 오늘의 리듬을 찾듯, 이 프로젝트도 사회 기억의 리듬을 다듬는 매개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커피가 주는 온기처럼, 이 정책도 지출의 목적과 실제 효과가 일치해야만 지속 가능하다는 점이 남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문제를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공익과 예우의 방식이 어떤 방향으로 조정될지, 이해당사자들의 목소리가 어떻게 반영될지에 달려 있습니다. 우리 각자가 일상에서 어떤 메시지를 소비하고 어떤 사회적 책임을 함께 선택하느냐가 작은 파동으로 모여 큰 흐름을 만들 테니, 차분하고 냉정한 확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