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만원어치 할마카세
		- 11:40
 - 747 회
 - 0 건
 

할마카세, 분식집 코스요리, 6만원. 도심 골목에 조용히 문을 연 할머니의 분식집은 오늘도 은은한 김과 함께 손님을 맞이한다. ‘오늘은 코스요리?’ 하고 물어보면 웃으며 고개를 끄덕이는 할머니. 그리고 한 무리의 손님이 등장했다. ‘저희 6만원 낼 거니까 알아서 내주셔요’라며 지갑을 펼치는 순간, 식탁에는 한 접시씩 더 쌓여 간다.
배경은 이렇다, 할머니가 만드는 코스요리는 사실상 ‘할마카세’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분식의 가벼움에 코스의 질서를 입히려는 의도처럼 보인다. 벽에 붙은 작은 간판에선 '맛설탕 대' 같은 다층의 의미가 흘러나오는 듯했다. 손님들은 이 코스요리의 가치를 6만원으로 '구매'하는 셈이라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상황은 더 흥미로워진다. 6명이 들어와 모두 같은 말로 돈을 내겠다고 했고, 그 이후로 접시는 멈추지 않는다. 할머니의 주걱은 의도적으로 리듬을 맞추듯 돌아가고, 불빛은 접시의 표면을 반짝이게 한다. 누군가는 손님들의 의도를 ‘행운의 주문’이라고도, ‘비공식 OTA’ 같은 소문이라도 말한다. 이 식당에서 벌어지는 것은 과연 단순한 결제의 문제가 맞을까, 아니면 우리 사회의 기대와 가치를 시험하는 실험일까?
여러 해석이 가능해 보인다. 할머니의 주방은 돈으로만 매겨지는 가치의 경계를 흐리면서도, ‘작은 호화’를 누리는 현재의 소비 문화에 익명성을 준다. 코스요리는 대체로 비싼 이미지지만, 이곳은 반대로 저렴한 가격으로 과다한 서비스를 흘려보낸다. 결국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이렇게 남는다: 무엇을 가리켜 가치를 둘지, 그리고 누가 그 가치를 결정하는가. 당신이라면 이 수다를 어디까지 믿고, 어디까지 상상의 영역으로 넘길까?
	









